도서 소개
저자 김지찬 교수는 세속화된 오늘날의 현대 사회에서 유튜브와 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퍼지는 십일조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잘못된 정보에 안타까움을 느꼈다. 무엇보다 십일조에 관련된 논문이나 저서가 거의 없다는 현실에, 성경의 모든 십일조 본문을 깊이 있게 연구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런 문제의식과 신학자로서의 사명감을 담아, 십일조를 바르게 주해하고 성경적으로 안내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헌금과 드림에 대한 신앙적 기준이 무너진 시대, 이 책은 십일조를 단지 교회 재정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하고 은혜에 응답하는 순종의 여정으로 이끈다. 구약과 신약을 아우르는 성경 전체의 십일조 본문 주해, 신학적 통찰과 실천적 적용, 그리고 현대 그리스도인이 마주하는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따라서 하나님께 드리는 삶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십일조가 지향하는 가치와 삶의 방식을 제시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돈이 왕이 된 시대,
십일조는 진짜 주인을 향한 고백이다!대한민국 최고의 구약학자 김지찬 교수의
깊이 있는 통찰과 치열한 연구가 집약된
십일조 주해의 역작!
십일조, 폐지되어야 하는가? 유지되어야 하는가?
논쟁적인 프레임 전쟁은 이제 그만!
창세기부터 히브리서까지,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신학적 깊이와 실천적 지혜로,
그리스도인의 영적 정체성을 회복하라!“경제 사정이 어려운데, 꼭 해야 하나요?”
“얼마를, 어떻게 드려야 옳은 건가요?”
“반드시 드려야 하는 의무인가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교회가 아닌 자선 단체에 해도 되나요?”
십일조의 필요, 의미, 방법, 마음까지
당신이 던졌던 모든 질문에 성경으로 답하는 책!
대한민국 최고의 구약학자 김지찬 교수의
깊이 있는 통찰과 치열한 연구가 집약된 십일조 주해의 역작!
오늘날 교회는 헌금과 십일조를 둘러싼 수많은 오해와 논쟁 가운데 있다. 어떤 이는 율법적 의무로 치부하고, 어떤 이는 불편한 진실이라 외면하며, 누구도 십일조를 신앙의 고백이자 실천으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 책은 바로 그 지점에서 출발한다. 십일조는 구약과 신약 모두 하나님께 기쁨으로 드릴 수 있는 기회이기에 복음이며, 동시에 원래부터 하나님의 소유로 당연히 드려야 한다는 점에서 율법이다. 또한 십일조는 단지 돈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순종의 문제이다.
십일조에 대한 오해들- 십일조는 구약의 율법 규정이므로 신약에서는 폐지되었다.
- 신약에는 십일조는 물론 헌금도 나오지 않는다. 오직 구제에 해당하는 연보만 있다.
- 신약에는 레위인이 없으므로 십일조를 굳이 교회에 할 필요가 없고, 정의와 긍휼과 믿음이라는 예수님의 정신을 실천하는 선교 단체나 NGO에 내도 된다.
- 구약에 절기 십일조와 자선 십일조가 있는데, 따라서 가족끼리 식사하는 비용으로나 자선 비용으로 십일조를 써도 된다.
저자 김지찬 교수는 세속화된 오늘날의 현대 사회에서 유튜브와 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퍼지는 십일조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잘못된 정보에 안타까움을 느꼈다. 무엇보다 십일조에 관련된 논문이나 저서가 거의 없다는 현실에, 성경의 모든 십일조 본문을 깊이 있게 연구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런 문제의식과 신학자로서의 사명감을 담아, 십일조를 바르게 주해하고 성경적으로 안내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왜 지금, 십일조인가?헌금과 드림에 대한 신앙적 기준이 무너진 시대, 이 책은 십일조를 단지 교회 재정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하고 은혜에 응답하는 순종의 여정으로 이끈다. 구약과 신약을 아우르는 성경 전체의 십일조 본문 주해, 신학적 통찰과 실천적 적용, 그리고 현대 그리스도인이 마주하는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따라서 하나님께 드리는 삶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십일조가 지향하는 가치와 삶의 방식을 제시할 것이다.
십일조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는 5가지 Point 프레임 전쟁이 아닌, 순종의 전쟁으로 이해해야 한다.
하나님께 받은 은혜에 대한 자발적인 신앙고백이다.
단순한 헌금 규정이 아니라, 하나님께 속한 삶의 표현이다.
세속화된 시대에 영적 정체성을 지키고 하나님 나라에 동참하는 실천이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을 드러내는 거룩한 영적 습관이다.
오늘, 이 책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 헌금과 십일조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는 일반 성도
- 성경이 말하는 십일조의 올바른 의미를 알고 싶은 신학생
- 제자훈련·소그룹·헌금 교육에 활용할 성경적 안내서를 찾는 리더와 목회자

그동안 한반도는 십일조 폐지론자들과 십일조 유지론자들이 프레임 전쟁을 하면서 성도들의 마음 밭과 교회 생태계가 많이 황폐화되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프레임 전쟁을 멈추고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십일조는 하나님이 나와 함께하신다라는 사실을 삶 가운데서 경험한 사람들이 보이는 자연스러운 감사의 반응이다.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모든 것에서 십분의 일을 내가 반드시 하나님께 드리겠나이다”(창 28:22)라는 서원은 임마누엘의 하나님을 경험하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나오는 보은(報恩)의 반응이다. 더욱이 야곱은 자신이 드린 십일조가 스스로 노력해서 얻은 것의 십분의 일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하나님이 주신 모든 것’에서 나온 것이라고 고백한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셨다’라고 믿는 사람은 십일조로 이런 믿음을 표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지찬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 총신대학교 신학과(B. A.)와 총신대학교 신학 대학원(M. Div.)을 거쳐, 1987년 5월 미국 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 석사 학위(Th. M.)를 취득했다. 1993년 2월 네덜란드 Kampen Theological University에서 신학 박사 학위(Th. D.)를 취득하는 동안, 동 대학에서 3년간 네덜란드 정부 지원 연구조교(AIW: Reserch Assistant)로 연구했다. 1993년 귀국해 총신대학교에서 30년간 구약을 가르치면서 대학 부총장 등 여러 보직을 역임한 후 2024년 2월 은퇴했다. 또한 에스라 성경 대학원대학교 이사(2008-2010년)와 한국 복음주의 구약신학회 제8대 회장(2015-2016년)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부산 수영로교회 협동목사로, 여러 교회에서 설교자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박사 학위 논문인 The Structure of the Samson Cycle(Kampen: Kok Pharos, 1993)을 비롯해 생명의말씀사에서 『언어의 직공이 되라』, 『오직 여호와만이 우리의 사사』, 『거룩하신 여호와 앞에 누가 능히 서리요』, 『문제는 유혹이다』, 『여호와의 날개 아래 약속의 땅을 향하여』, 『데칼로그』, 『룻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너와 네 온 집은 방주로 들어가라』, 『성경과 팬데믹』을 저술했다. 그 외에 『구약개론』(대한예수교장 로회총회)과 『하나님의 백성이 전 생애로 대답해야 할 6가지 질문』(죠이선교회), 『믿다, 살다, 웃다』(국제제자훈련원)를, 공저로 『고엘, 교회에 말걸다』(홍성사)을 출간했다. 또한 『요세푸스 전집』(전 4권)을 포함해 20권의 역서(생명의말씀사)를, 『NIV Study Bible』, 『홀리원 바이블』(예장출판사)을 공역했다.
목차
추천사
서언
서론_무엇이 중요한가: 프레임인가? 성경인가?
1. 아브라함의 십일조(창 14장) 예수님의 십일조 정신의 최초 구현
2. 야곱의 십일조(창 28장) 하나님의 신비한 초청에 대한 예배의 응답
3. 레위기의 십일조(레 27장) 십일조 정신의 축약판
4. 민수기의 십일조(민 18장)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는 자들의 기업
5. 신명기의 십일조(신 12, 14, 26장) 약속의 땅에서 정의와 긍휼과 믿음의 구현
6. 사무엘서의 십일조(삼상 8장) 백성을 종으로 만드는 왕의 십일조
7. 역대기의 십일조(대하 31장) 히스기야의 십일조, 예수님의 십일조 정신
8. 느헤미야서의 십일조(느 10, 12, 13장) 하나님의 집(나라)을 위한 십일조
9. 아모스서의 십일조(암 4장) 자기 탐닉의 십일조에 대한 경고
10. 말라기의 십일조(말 3장) 과연 하나님을 도둑질할 수 있을까?
11. 마태복음의 십일조(마 23장) 십일조의 정신: 정의와 긍휼과 믿음
12. 누가복음의 십일조(눅 11장) 구제와 정결, 십일조와 하나님 사랑
13. 예수님의 비유 안의 십일조(눅 18장) 십일조와 칭의(의롭다 하심)의 관계
14. 히브리서의 십일조(히 7장) 십일조와 그리스도의 영원한 대제사장직
결론_십일조의 복음, 십일조의 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