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노아론
백엔드 개발자로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만드는 일에 깊은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대학 시절부터 실제 사용자가 쓰는 제품을 직접 개발·운영해 본 경험이 있으며, 일일 사용자 수 700명 이상의 서비스를 기획, 구축, 배포하며 ‘기술이 일상에 스며드는 과정’의 매력을 몸소 느꼈습니다.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백엔드 개발자의 길을 걸으며 리멤버앤컴퍼니에서 리멤버 서비스의 서버 개발을 담당했고, 대규모 사용자 기반의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와 안정적인 운영에 참여해 왔습니다. 트래픽 급증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능 개선으로 ‘개발 이후의 운영’까지 책임지는 개발자로 성장해 왔습니다.특히 해커톤에 꾸준히 참여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빠른 개발 역량, 그리고 아이디어를 프로덕트 수준으로 빠르게 끌어올리는 실행력을 길러왔습니다. 정션 X 해커톤에서 2위를 수상한 경험을 비롯해 다양한 해커톤을 통해 실전에서 검증된 문제 해결력과 협업 경험을 쌓으며 개발자로서 폭넓은 시야를 넓혀가고 있습니다.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에도 꾸준히 참여하며 Redis, AWS SDK 등 여러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깃허브를 통해 직접 제작한 유틸리티 라이브러리, 서비스 인프라 개선 도구, 개발 워크플로우 자동화 스크립트 등을 공유하며, 동료 개발자들이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만드는 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끊임없이 학습하며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해 사용자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매일매일 노력하고 있습니다.깃허브: https://github.com/roharon
프롤로그
Chapter 1_ 해커톤을 시작하겠습니다
1.1 해커톤이란 무엇인가요
_해커톤의 세 가지 기원
_대표적인 몇 가지 해커톤
1.2 해커톤에서 무엇을 하나요
1.3 팀 빌딩하기
1.4 나와 맞는 팀 찾기
1.5 팀 내 역할 나누기
1.6 팀 빌딩을 마치고
Chapter 2_ 거래하기 안전한 SNS 마켓 만들기
2.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2.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2.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SQLite를 사용하는 이유
2.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2.5 플라스크 프로젝트 구조 정하기
2.6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하기
2.7 구현에 앞서 REST API 스펙 작성해서 공유하기
2.8 완성된 프로젝트 실행하기
Chapter 3_ 주변 대학의 학생식당 메뉴 모아보기
3.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3.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3.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3.4 깃허브 액션 사용하기
3.5 FastAPI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3.6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3.7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하기
3.8 FastAPI 프로젝트 구조 정하기
3.9 REST API 스펙 설계하기
3.10 프로젝트 실행하기
Chapter 4_ 일주일 치 구내식당 식단표, 하루 단위로 확인하기
4.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4.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4.3 당일 점심 메뉴만 볼 수 있는 식단표 만들기
_프로젝트에 도입할 OCR API 선택하기
식단 정보를 받을 메신저 선택하기
4.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4.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4.6 API 스펙 설계하기
4.7 프로젝트 구성 및 실행하기
Chapter 5_ 주말에 갈 캠핑장 찾기
5.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5.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5.3 필요한 OpenAPI 찾아보기
5.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5.5 OpenAPI 3.0으로 API 스펙 설계하기
5.6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5.7 프로젝트 실행하기
5.8 OpenAPI 호출 수 최적화하기
Chapter 6_ 달리기 측정 앱 간의 기록 연동하기
6.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6.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6.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구성하기
6.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6.5 S3에 파일이 저장된 경우 람다 실행하기
6.6 API 설계하기
6.7 프로젝트 설정하고 실행하기
6.8 연동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추가하기
6.9 여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로 고도화하기
6.10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7_ 구글 드라이브의 공유 문서함 초대 자동화하기
7.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스캠퍼 기법
스마트 기법
7.2 구현 범위 설정하기
7.3 구글 드라이브 공유 권한 편집 API 사용하기
7.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구성하기
7.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7.6 API 설계하기
7.7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7.8 권한 부여 현황 리포트 발송 구현하기
7.9 이벤트 브리지로 일정 시각마다 이메일 발송하기
7.10 프로젝트 설정 및 실행하기
7.11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8_ 1인 가구의 장 함께 보기
8.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스캠퍼 기법
스마트 기법
8.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8.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8.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8.5 람다 함수 간 데이터 전달하기
8.6 REST API 스펙 설계하기
8.7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8.8 프로젝트 설정 및 실행하기
Chapter 9_ 즐겨보는 블로그 글 모아보기
9.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9.2 구현 범위 설정하기
9.3 XML로 글을 제공하는 방식 알아보기
9.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9.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9.6 API 설계하기
9.7 프로젝트 실행하기
9.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10_ 한 주간의 목표 세우기
10.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10.2 구현 범위 설정하기
10.3 주어진 상황에 맞는 기술 스택 구성하기
10.4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모델링하기
10.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10.6 API 설계하기
10.7 프로젝트 실행하기
10.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11_ 주식 매수 시점에 따른 현재 수익 조회하기
11.1 아이디어 도출하기
_마인드 맵 기법
_스캠퍼 기법
_스마트 기법
11.2 구현 범위 설정하기
11.3 주식 가격 데이터 조회 API 찾기
11.4 주어진 상황에 맞는 기술 스택 구성하기
11.5 프로젝트 아키텍처 구성하기
11.6 API 설계하기
11.7 프로젝트 실행하기
11.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Appendix A_ 프로젝트에 필요한 개발환경 구성하기
_A.1 깃허브 데스크톱으로 프로젝트 리포지토리 클론하기
_A.2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설치하기
Appendix B_ 프로젝트를 발표하겠습니다
_B.1 STAR 기법을 사용합니다
_B.2 우리가 진행한 프로젝트로 STAR 기법을 준비합니다
에필로그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