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팬데믹 이후 시대적 전환점에 선 인간과 사회, 자연의 ‘공존’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다학제적 사유의 기록이다. 디자인과 예술, 공학, 인문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생존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성찰하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디자인적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제목 속 ‘다음’은 다음 세대, 다음 사회, 그리고 다음 생존의 조건에 대한 탐색을 뜻한다.
책은 자연 생태계, 기술 발전, 인간 욕망의 균형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하여, 생존의 위기를 디자인을 통해 풀어보려는 시도들을 담는다. 단순히 시각적인 디자인을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 기술 환경 속에서 생존을 다시 사유하려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팬데믹, 기후 위기, 전쟁과 같은 동시대의 불확실성과 위협 속에서 디자인이 가질 수 있는 실천적 역할을 다양한 시선으로 조망한다.
출판사 리뷰
디자인, 생존의 언어가 되다
《다음; 생존을 디자인하다》는 팬데믹 이후 시대적 전환점에 선 인간과 사회, 자연의 ‘공존’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다학제적 사유의 기록이다. 디자인과 예술, 공학, 인문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생존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성찰하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디자인적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제목 속 ‘다음’은 다음 세대, 다음 사회, 그리고 다음 생존의 조건에 대한 탐색을 뜻한다.
책은 자연 생태계, 기술 발전, 인간 욕망의 균형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하여, 생존의 위기를 디자인을 통해 풀어보려는 시도들을 담는다. 단순히 시각적인 디자인을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 기술 환경 속에서 생존을 다시 사유하려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팬데믹, 기후 위기, 전쟁과 같은 동시대의 불확실성과 위협 속에서 디자인이 가질 수 있는 실천적 역할을 다양한 시선으로 조망한다.
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의 10번째 시리즈인 이 책은 기존의 디자인 담론을 넘어 삶과 사회 전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도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걷고 싶은 길을 함께 거닐 듯, 디자인을 통해 사람과 사회,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 여정은 지금의 위기와 이후의 미래를 사유하는 독자들에게 사려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인류의 역사는 ‘생존’에 대한 기록이다. 시대마다 주어진 불확실한 조건 속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난관을 극복하며 지금껏 발전해 왔다. 생존에 유리한 곳을 찾아 먼 길을 떠났고 힘센 집단은 그곳의 주인이 되어 번성하였으며 또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신들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전쟁과 같은 치열한 경쟁을 이겨내야만 했다. 더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체가 함께 공존하는 곳이기도 하다. 인간은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야하는 존재인 것이다. 하지만 인류는 수세기 동안 문명과 기술의 발전이라는 미명아래 독단적이고도 과도한 욕망을 채워왔다. 무분별한 개발과 집단적 이기주의의 결과로 현재의 인류는 자신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다른 생명체들의 생존까지도 위협하고 있다.
어느덧 코로나 팬데믹의 그림자가 조금은 지워진 듯 한 지금, 여전히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은 10번째 책으로 ‘생존’을 주제로 한 글들을 모아 ‘프롬나드디자인10 〈다음: 생존을 디자인하다〉’를 펴내고자한다. 이 책은 미술과 디자인, 공학 분야의 전문가들로서 종사하며 이시대의 ‘생존’을 함께 고민하였던 소중한 시간을 담은 기록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은 독자들과 함께 시대를 읽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도록 꾸준한 소통과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
프롬나드디자인연구원은 2007년 한국디자인정책학회 내에 디자인정책연구원으로 시작하여, 2009년 10월 현재의 ‘프롬나드 디자인연구원’으로 명칭을 바꾸어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프롬나드 디자인은 인간의 삶이 그러하듯 어느 한쪽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다소 부족하더라도 모두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디자인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www.promenade-design.co.kr
목차
머리말: ‘생존(生存)’이라는 화두에 대하여 _박지현
PART 1. 생존을 기록하다: 창작자들이 체득한 생존의 기록들
1. 예술을 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 김정아
2. 김 작가 생존기 | 김태연
3. 생존의 원동력, 영감(靈感)을 얻다 | 문선희
4. 창의적 존재로 살아남기 | 박지현
5. 내 마음과 영혼과 정신을 다하여 | 손대윤
6. 후스디자인 연대기 | 이광후
7. 디자이너의 분갈이 | 장계연
PART 2. 생존을 말하다: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본 생존의 해석과 재구성
8. 디자인이 살아남는 방법 | 김경환
9. 살아있는, 살아남은, 살아나갈 디자인에 대하여 | 김산
10. 예술, 마음을 디자인하다 | 김손비야
11. 소리 없는 외침 | 원재윤
12. 사이의 키워드 연결 디자인 | 윤정우
13. AI와 함께하는 디자인 생존 게임 | 이경태
14. 생존연습 | 장용해
15. 섬세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를 위한 ‘Pause’와 ‘Play’ 그리고 ‘Replay’ | 현경아
참고문헌과 도판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