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스타트업 바닥에서, 대기업 조직에서, 그리고 한국을 넘어 필리핀과 중국까지. 기획자 '세균무기'는 지난 19년 동안 수많은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며 다양한 제품과 플랫폼을 기획하고 만들었다. 이 책은 화려한 성공담이 아니다. 무너지고, 버티고, 다시 일어서며 마주한 현실과 그 안에서 얻은 통찰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스타트업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일하는 방식의 한계, 반복되는 실패의 원인을 더는 외면할 수 없다. 이 책은 이제야 말할 수 있는 '실패의 기록'이자, 변화를 촉구하는 '경고의 메시지'다. OKR 도입, 온보딩 방식, 교육 제도 개선, 유저 저니 맵과 디자인 싱킹 운영, 게임처럼 일하는 레이드 전략까지, 조직과 개인이 함께 성장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안을 제시하며, 지금 반드시 바꿔야 할 것들에 대해 분명하고 단호한 목소리를 낸다.
출판사 리뷰
성공은 잠깐, 실패는 매일, 그럼에도 우리는 오늘도 만든다
스타트업 바닥에서, 대기업 조직에서, 그리고 한국을 넘어 필리핀과 중국까지. 기획자 '세균무기'는 지난 19년 동안 수많은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며 다양한 제품과 플랫폼을 기획하고 만들었다. 이 책은 화려한 성공담이 아니다. 무너지고, 버티고, 다시 일어서며 마주한 현실과 그 안에서 얻은 통찰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스타트업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일하는 방식의 한계, 반복되는 실패의 원인을 더는 외면할 수 없다. 이 책은 이제야 말할 수 있는 '실패의 기록'이자, 변화를 촉구하는 '경고의 메시지'다. OKR 도입, 온보딩 방식, 교육 제도 개선, 유저 저니 맵과 디자인 싱킹 운영, 게임처럼 일하는 레이드 전략까지, 조직과 개인이 함께 성장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안을 제시하며, 지금 반드시 바꿔야 할 것들에 대해 분명하고 단호한 목소리를 낸다.
좋은 팀, 좋은 제품, 좋은 일터를 꿈꾸며
스타트업 생태계는 늘 '성공'을 말합니다. 유니콘이 된 기업, 억대 투자를 유치한 창업자,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스타트업 등 화려한 사례들이 주목받고, 모두가 '성공의 법칙'을 찾는 데 몰두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배워야 할 '진짜 이야기'는 종종 그 반대편에 있습니다. 실패를 겪은 사람들의 이야기, 무너지고 다시 일어선 이들의 기록 속에서야말로 진짜 배움이 숨어 있습니다.
이 책은 19년간 국내외 15개 IT 기업을 거치며 수많은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숱한 실패를 경험한 기획자 '세균무기'의 치열한 생존기입니다. 실패를 회피하거나 미화하지 않고, 그 안에 담긴 구조적 문제와 실무의 교훈을 생생하게 기록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대기업, 나아가 필리핀과 중국까지 이어진 저자의 커리어는 단순한 개인의 여정을 넘어 한국 IT 업계가 안고 있는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합니다.
이 책은 인재 채용과 조직 문화, 제품 기획과 팀워크, 그리고 한국 IT 산업 전반의 구조적 모순을 냉철하게 짚습니다. 현장의 언어로 쓰였기에 그 어떤 이론서보다 생생하고 구체적이며, 실제 실패의 현장에서 얻은 통찰이기에 더욱 설득력을 가집니다. 하지만 단지 현실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스타트업과 IT 조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일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안합니다.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도입, 신규 입사자 온보딩 방식, 실무 역량 강화 제도, 디자인 싱킹과 유저 저니 맵 운영법, 그리고 게임처럼 일하는 레이드 방법론까지 실무자가 당장 활용할 수 있는 팁과 전략이 가득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회고록이 아닙니다. 스타트업 생태계를 바로 세우기 위한 통찰과 실천의 매뉴얼이며, 우리가 외면해온 실패의 기록을 바탕으로 다시 시작할 용기를 건네는 책입니다. 지금,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입니다. 실패를 직시하고 싶은 리더, 방향을 잃은 실무자, 구조를 바꾸고 싶은 모두에게 이 책은 강한 자극과 분명한 실마리를 줄 것입니다.
짧지 않은 19년이라는 직장 생활 동안 많은 일이 있었고, 크고 작은 성공과 실패를 여러 번 경험했다. 그러나 성공보다는 실패한 횟수가 더 많았다. 그래서인지 성공보다는 실패에서 더 많은 배움과 교훈을 얻었다. 그 경험을 기록해놓지 않았다면, 언제 그런 경험을 했는지조차 잊고 앞만 보며 정신없이 살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꼼꼼하게 기록해놓다 보니 꽤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다시 꺼내 보며 복기할 수 있었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인재를 육성하고 배출한다는 '인재사관학교'라는 표현을 주변에서 흔히 보고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인재사관학교의 역할을 담당하며 많은 인재를 육성하고 배출한 회사들은 인재 유출에 대한 고충을 토로하면서도, 이를 광고나 마케팅의 소재로 활용하기도 했다. 또한 인재사관학교 역할을 하는 회사에 재직한 사람들은 그 경력을 자랑하곤 했다. 삼성, IBM, 네이버, 옥션 등 해당 도메인에서 1, 2위를 차지하며 누구나 알 만한 회사였으니 자랑할 만도 했다.
하지만 현행 교육 시스템과 제도로는 AI 시대에 필요한 고급 인재를 육성할 수 없다. 과거에 자동차나 통신, 원자력,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기업과 대학교가 산학 협력을 통해 필요한 인재를 집중적으로 육성했듯이, 여러 성공한 IT 기업에서 대학교와 산학 협력을 통해 커리큘럼을 공동 개발하고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습·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고급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세균무기
19년 차 IT 서비스 기획자이자 프로덕트 오너로, 국내외 15개 기업에서 실무 경험을 쌓아왔다. 초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전자상거래, O2O, 소셜미디어, 애드테크, 블록체인, 에듀테크, 헬스케어 등 다양한 도메인의 플랫폼과 서비스를 기획하며 기술과 사용자를 연결해왔다. 또한 중국과 필리핀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기획하고, 3년간 직접 창업을 하는 등 기획자로서 다양한 경험을 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5년간 많은 기획자와 취준생, 기업에 서비스 기획 강의 및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실무 노하우를 담은 저서 《세균무기가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의 모든 것》(위키북스, 2024)을 집필했다.
목차
추천사 8
서문 16
PART 1 최고의 인재
01 성장에 무관심한 회사 33
__기업 교육의 실종과 사교육 열풍 34
__직원의 성장에 관심 없는 조직 43
02 AI 시대, 경쟁력을 잃어가는 한국 49
__IT 강국, 코리아 50
__고급 인재를 육성할 수 없는 교육 시스템 55
__AI 시대, 우리의 미래는? 58
03 동기부여 63
__소명의식과 사명감 64
__성공의 경험과 성취감 71
04 집중과 몰입 77
__잃어버린 집중력을 찾아서 78
PART 2 성공하는 팀
05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조직 87
__수평적인 조직문화, 애자일 방법론 88
__애자일 조직 만들기 97
__수평적 조직문화의 실패 105
06 리더의 역할 109
__매니저 vs. 리더 110
__리더의 역할 112
07 당신은 동료에게 ○○이다 123
__동료로서 좋은 자세와 태도 124
__시너지 128
08 협업의 기술 131
__커뮤니케이션과 문서화 132
__문서의 작성과 관리 135
PART 3 위대한 제품
09 기술의 인문학 141
__기술 만능주의 142
__통찰과 통섭의 역량, 인문학 145
10 고객 집착과 우선순위 157
__고객에게 집착하기 ― 디자인 싱킹 방법론 158
__의사결정하기 171
11 보이지 않는 진의 175
__용어의 함정 176
__마케팅의 유혹 181
12 윤리적 제품 개발 185
__국내법과 IT 산업 186
__좋은 사용자 경험과 직업윤리 189
__사용자를 속이는 다크 패턴 191
__디지털 소외 문제와 디지털 접근성 197
13 데이터 유감 203
__데이터 만능주의 204
PART 4 일하고 싶은 기업
14 레이드 방법론 213
__레이드 시스템 216
__레이드 방법론의 적용; 업무를 게임처럼 221
__레이드 조직의 평가와 보상 225
15 실패하더라도 231
__실패에 박수 쳐주기 위해선 232
맺음말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