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오하룡 시를 읽다  이미지

오하룡 시를 읽다
실향 이향 시대의 관찰적 증언
경남 | 부모님 | 2025.05.23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32Kg | 332p
  • ISBN
  • 979116746182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75년 시집 〈모향〉으로 등단한 오하룡 시인이 그간 발표된 시집의 평설과 발문 등을 단행본으로 엮었다. 오하룡 시인의 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본격 문학의 길에 들어선 지 반세기를 맞았다. 문청 시절로 치부되는 시동인지 《잉여촌》 동인 시절까지 의식하면 60여 년을 문학을 동반한 삶이었다. 그러나 돌아보니 삶에 있어서나 문학에 있어서나 부끄러움뿐이다. 삶도 주어졌으므로 그 본분에 끌려왔을 뿐 나 스스로 당당한 삶을 살았다고 돌아 보이지 않는다.문학도 어쩌다 보니 이 길이 내 길이구나 해서 나섰던 것이지 무슨 재주나 능력이 각별하거나 특출해서 나섰던 것은 아니다. 이처럼 마지못해 삶의 길도, 문학의 길도 걸었을 뿐이다. 그러나 삶의 본분에 따르다 보니 가정을 갖게 되고 자식을 갖게 되고 부모가 되었고 부모 노릇의 일환으로 인생에 도움될까 하여 자식들에게 할 소리 못 할 소리를 하였듯, 문학에 있어서도 내 성향이 문학에 드러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관찰자적 증언 글쓰기도 그 일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분명한 것은 내 문학도 문학의 본분인 진실 추구의 정도를 걸으려고 노력한 것은 사실이므로 여기 평문에서 내 이러한 의도가 십분 드러나서 읽는 이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여한이 없겠다는 생각에서 이 작업에 나섰다. 그러나 막상 돌아보니 부끄럽기만 한 것은 사실이다. 근래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가만있을 수도 가만있지 않을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심정을 토로해 본 것이다.가만있으면가만있어서 부끄럽다가만있지 않으면가만있지 않아서돌아보면돌아보아서 부끄럽다돌아보지 않으면돌아보지 않아서부끄럽다―〈부끄럽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민병기
1946 충남 홍성 출신. 고려대 국문학과 학·석·박사 과정 졸업. 중등 교사와 고대 강사에 이어, 창원대 국문과 퇴직 후 명예교수. 「시인」지로 등단, 4인 시집. 「가자 아름다운 나라로」(거암, 1987)와 단독 시집 「물방울의 꿈」(도서출판 경남, 1991)과 저서로 「정지용」(건국대 출판부, 1996)과 공저로 「문학이란 무엇인가」(집문당, 1996)와 「현대작가작품론」(집문당, 1998)과 「한국의 영상문학」(문예마당, 1998)과 편저로 「신춘문예 당선 우수시 100선」(문예마당 1998) 등이 있다.

지은이 : 배한봉
경남 함안 출생이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현대시』신인상을 받고 문단에 데뷔했다. 시집으로 『육 탁』, 『주남지의 새들』, 『잠을 두드리는 물의 노 래』, 『악기점』, 『우포늪 왁새』, 『黑鳥』, 『복사 꽃 아래 천년: 소월시문학상 작품집』이 있다. 산 문집으로 『당신과 나의 숨결』, 『우포늪, 생명 과 희망과 미래』가 있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시 ?우포늪 왁새?, ?아름다운 수작?이 수록됐 다. 현대시작품상, 소월시문학상 대상, 박인환문 학상, 풀꽃문학상, 아름다운농촌시 농림부장관 패, 경남문학상, 김달진창원문학상, 서귀포칠십 리문학상, 산해원문화상 문학상을 받았다. 계 간 『시인시각』, 『시인동네』, 『시를사랑하는사람 들』주간을 역임했다. 지금은 경남 창원에 살면서 한국시인협회 상임위원, 우포늪 홍보대사, 『경 남문학』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희대학 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마산대 학교에서 강의하였거나 강의하고 있다.

지은이 : 이상개
1965년 <시문학> 추천완료 등단. <잉여촌> <시와 자유> 동인. 시집 『파도꽃잎』 『시간박물관』 『떠다니는 말뚝』 『단풍 드는 나이』 등 13권. 부산시문화상, 김민부문학상, 한국현대시인상, 부산펜문학상 등 수상. 2020년 현재 부산문인협회 고문, 부산작가회의 고문.

지은이 : 이응인
1962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고, 1988년부터 교사가 되어 밀양에 있는 세종중학교에서 35년째 아이들과 함께 지내고 있다.1987년 무크지 『전망』 5집에 ‘그대에게 편지’ 외 7편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이후 『투명한 얼음장』 『따뜻한 곳』 『천천히 오는 기다림』, 『어린 꽃다지를 위하여』 『그냥 휘파람새』 『솔직히 나는 흔들리고 있다』 등의 시집을 내었고, 함께 엮은 책으로 『선생님 시 읽어 주세요』 『밀양설화집 1,2,3』 『그래 밀양의 옛이야기 한번 들어볼래?』 『밀양문학사』 등이 있다. 2003년부터 밀양 화악산 기슭 퇴로 마을에서 텃밭을 일구며 자연의 품에 안겨 살고 있다. 그동안 경남작가회의 부회장, 밀양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 세종중학교 교장을 맡고 있다.

지은이 : 임신행
* 수상오월 신인예술상 수석상,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계몽아동문학상, 제1회 황금도깨비상 대상, 세종아동문학상, 한국어린이도서상 저작 부문, 이주홍아동문학상, 방정환아동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민족동화문학상, 최계락 문학상 한국동화문학상, 한국불교 아동문학상 등* 동화집『베트남 아이』,『꽃불 속에 울리는 방울소리』,『까치네 집』,『해저동굴』,『마법의 집』,『까치섬의 아기꽃게』, 『동토의왕국』,『분홍 조가비』,『아기도깨비가 사는 집』,『토끼전 홍계월전』,『방울귀신』, 『아기도깨비와 아이들』,『아기들의 숲』,『초록머리 물떼새』,『골목마다 뜨는 별』,『황룡사방가지똥』,『은빛 갈매기』,『꼬마물떼세』,『갈대숲 속 작은 집의 비밀』,『흰 고래를 잡으러』,『지리산 아이』,『갈매기 섬 아이들』,『공룡아, 공룡아! 뭘 하니?』,『안개섬아이들』,『별을 타고 온 아이』, 『난지도 하늘에 뜬 무지개』,『동백꽃 수놓기』,『버리기와 버림받기』,『섬 엉겅퀴 비에젖으며』,『진실로 사랑하는 연인의 가슴에만 자귀나무꽃은 핀답니다』,『K니G를 위하여』, 자연생태 시집『이제 우리 언제 다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자연생태 동시집『우포늪에는 별똥별이』 외* 한국아동문학인회 자문위원* 전, 창신대학 문예창작과 및 국립 창원대학 평생교육원 교수 역임* 우포늪 홍보대사

지은이 : 정목일
1975년 「월간문학」 수필 당선1976년 「현대문학」 수필 천료경남신문 편집국장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 및 명예이사장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연세대학교미래교육원 수필 지도교수한국문인협회 수필교실 지도교수한국문학상, 조경희문학상, 원종린문학상, 흑구문학상, 신곡문학상, 남촌수필문학상 등 수상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사투리」, 「폐교에 뜨는 별」 수록작품집: 『남강 부근의 겨울나무』(백미사), 『한국의 영혼』(부름사), 『달빛고요』(범조사), 『별보며 쓰는 편지』(고려원), 『대금산조』(동학사), 『나의 해외문학기행』(문학관), 『목향』(교음사), 『가을금관』(선우미디어), 『심금』(문학사), 『마음 고요』(청어), 『모래밭에 쓴 수필』(문학수첩), 『맛 멋 흥, 한국에 취하다』(청조사), 『나의 한국미 산책』(청조사), 『나무』(수필과 비평사) 등 30여 권

지은이 : 이달균
1987년 시집 『남해행』과 무크 《지평》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열도의 등뼈』 『늙은 사자』 『문자의 파편』 『말뚝이 가라사대』 『장롱의 말』 『북행열차를 타고』 『南海行』, 시·사진집 『탑, 선 채로 천년을 살면 무엇이 보일까』, 현대가사시집 『열두공방 열두고개』, 창비 6인 시집 『갈잎 흔드는 여섯 악장 칸타타』, 평론집 『구심력과 원심력의 경계』, 시조선집 『퇴화론자의 고백』, 영화 에세이집 『영화, 포장마차에서의 즐거운 수다』 등이 있다. 중앙시조대상, 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조운문학상, 오늘의시조문학상, 성파시조문학상, 경상남도문화상, 마산시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상옥
경남 고성 출생, 1989년 월간 『시문학』 등단.창신대 문예창작과 교수, 중국정주경공업대 교수, 베트남 메콩대 교수 역임.현재 창신대 명예교수·문덕수문학관장, 경남정보대 특임교수, 한국디카시연구소 대표, 국경없는디카시인회 대표. 계간 《디카시》 발행인, 심산문학진흥회 이사.시집 『하얀 감꽃이 피던 날』, 『꿈꾸는 애벌레만 나비의 눈을 달았다』, 『유리그릇』, 『환승역에서』, 『그리운외뿔』, 『하늘 저울』. 디카시집 『고성 가도』, 『장산숲』, 『고흐의 해바라기』. 평론집 및 이론서 『변방의 시학』, 『역류하는 시학』, 『시적 당화체계연구』, 『아름다운 상처의 시학』, 『현대시와 투명한 언어』, 『불통의 시를 넘어』, 『경남현대시인론』, 『시창작강의』, 『시창작입문』, 『사색을 위한 기독교 명시』, 『시가 있는 아침에』, 『희미한 옛사랑의 추억』, 『디카시를 말한다』, 『앙코르 디카시』, 『디카시창작입문』.공저 『문학의 이론』, 『한국현대문학사』 외.시문학상, 유심작품상, 경남문학상, 산해원문화상, 편운문학상 등 수상

지은이 : 서우승
시조시인

지은이 : 강외석
정유년(丁酉年)에 경남 진주에서 출생하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새로운 21세기가 시작되는 2000년 봄에, 우연인지 필연인지, 새로운 시작의 의식인 양 쓰게 된 평론 「박용래 시의 의식 공간」 을 필두로 틈틈이 평론 글쓰기를 줄곧 하여, 지금까지 낸 저서로 『일제 침략기의 한국 현대시 연구』, 『피그말리온의 풍경』, 『라푼첼의 길』, 『둘레길을 걷다』, 『들길의 소리들』 등이 있음.

지은이 : 김동민
지리산 천왕봉이 보이고 5백 리 남강이 흐르는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진주 봉래초교, 진주 중·고교, 경상국립대 문학박사 취득. 『월간문학』 전경련 소설 현상공모에 중편소설 당선으로 소설가와 문학평론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제1회〈김동리논문상〉을 수상하고, 2005년을 대표하는 문제소설 작가로 선정되었다. <독서신문>과 월간 문예지 3곳에 장편소설을 연재할 때 고 이문구 선생에게 대작을 쓸 수 있는 소설 연재의 명수라는 말을 듣고, 2006년부터 방대한 자료 수집과 작품 구상을 끝내고 집필 중이던 대하소설 『백성』 (원제: 돌아오는 꽃)을 <경남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하여, 착상부터 탈고까지 20여 년의 대장정에 걸쳐 총 5부작 (전 21권)에 달하는 필생의 역작을 완성하게 되었다.장편소설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 『해 저물녘 티티새 1·2』, 『가지를 꺾는 나무들』, 『무슨 말로 노래하라 하십니까』, 『사랑의 모자이크』, 『박연-피리소리』, 『비차 1·2』 가 있으며, 소설집 『사막의 천둥』, 『빨간 이발관』, 『아마존강의 초가집』, 『양, 강둑에 서다』가 있다. 평전으로 『꼼쟁이 할매』, 평론집 『한국 문학사의 탐색』, 『창조적 문학비평』 등이 있다.《TV조선 박종인의 땅의 역사》와 《KNN 행복한 책읽기》에 방영된 『비차 1·2』 를 영화와 뮤지컬로 만들기 위해 제작자와 협의 중이며, 비차발전위원회 상임대표로 비차(비거)를 홍보, 계승, 발전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윤재근
1936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났다.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계간 《문화비평》, 월간 《현대문학》 편집인 겸 주간, 한국미래문화연구소 소장을 지냈다.현재 한양대학교 국문과 명예교수.저서로 『詩論』 『樂論』 『歌論』 『문예미학』 『동양의 미학』 등과 『한국시문학비평』『만해시와 주제적 시론』 『만해시 ‘님의 沈默’ 연구』 『문예비평의 논리와 실제』 등의문학비평서가 있다.『<장자> 철학우화』(전3권) 『<논어> 인간관계의 철학』(전3권) 『<노자> 오묘한 삶의 길』(전3권)『<맹자> 바른 삶에 이르는 길』(전3권) 『고전어록선』(전2권) 『생활 속의 선』『에세이로 읽는 주역 나는 나의 미래를 본다』『한권으로 읽는 주역』 『편하게 만나는 도덕경-노자』 『우화로 즐기는 장자』 『사람인가를 묻는 논어』『희망과 소통의 경전-맹자』 『마음 중심 세상 중용』 『노자 81장』(전2권) 『주역 상경』 『주역 하경』 『십익』 등을 통해 고전을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지은이 : 호병탁
충남 부여출생, 한국외국어대 중어과, 원광대대학원 국문학과(문학박사)문예가족 회장, 종합문예지 『표현』 주간, 채만식문학상 운영위원, 혼불문학상 심사위원 등표현문학상, 군산문학상, 아름다운 문학상, 한국예총회장상 등시집 『칠산주막』(모아드림), 평론집 『나비의 궤적』(황금알), 『일어서는 돌』(인간과 문학사), 『양파에서 고구마까지-21세기 한국 시문학을 보는 융합적 통찰』(문예원), 『시의 집을 찾다』(칼라박스) 등

지은이 : 전문수
문학평론가, 시인, 창원대 명예교수

지은이 : 오인문
소설가

지은이 : 신동한
문학평론가

지은이 : 정진업
시인

  목차

004 책머리에

오하룡 시를 읽다

제1시집 《모향》(1975. 춘추각)
011 신동한 성실한 전원 시인
016 오인문 모향母鄕에 흐르는 지하수
019 이상개 잉여촌의 활력소活力素
021 전문수 모향母鄕의 원형 회복

제2시집 《잡초의 생각으로도》(1981. 월간문학사)
036 정진업 농민의식에 점화點火하는 농민의 시詩들
043 서우승 호소적 저항과 서민의식

시선집 《실향을 위하여》(1987. 도서출판 경남)
049 전문수 시적 시간의식 흥미 있는 진로

제4시집 《마산에 살며》(1992. 도서출판 경남)
066 민병기 오하룡 자서전의 시, 《마산에 살며》를 읽고

제5시집 《창원별곡》(1993. 도서출판 빛남)
079 임신행 숨겨두기, 열어 말하기,
그리고 느긋함 또는 관조를 통한 시적 구조
104 이상옥 민초民草의 한恨, 그리고 휴머니티

제6시집 《내 얼굴》(2004. 도서출판 경남)
117 김동민 외딴집 한 채로 살아온 ‘어떤’ 내 얼굴
146 이응인 순리의 길을 가는 시

제7시집 《몽상과 현실 사이》 (2014. 도서출판 경남)
157 강외석 물빛 풍경의 세계

제8시집 《시집 밖의 시》(2017. 이레웍스)
171 윤재근 풀쳐 생각하여 채진採眞하기
185 이응인 시가 어디에 서 있는지

시선집 《모향 실향 그리고》(2019. 도서출판 경남)
194 윤재근 이변離邊 그리고 적중的中
217 이달균 상실의 거름으로 피우는 마음 꽃 한 송이

제9시집 《그 너머의 시》 (2021. 도서출판 황금알)
236 호병탁 어렵지 않은 언어들이 뿜어대는 큰 감동의 물결

오하룡 총평 및 대담

244 정목일 평범과 무기교에 얻은 맛과 감명
258 강외석 반가사유상의 사유
266 배한봉 대담 경남 시인 초대석

오하룡 동시를 읽다
제1동시집 《아이와 운동장》(2005. 도서출판 경남)
287 임신행 동심이라는 우주 그리고 리얼리티와 판타지

제2동시집 《아이와 할아버지》(2022. 도서출판 경남)
305 윤재근 오하룡 동시의 참맛

부록
316 신문·인터넷에 소개된 오하룡 시 읽기
양왕용 한상훈 황인숙 김문주 이상개 배한봉 임영석
330 오하룡 시인 연보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