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더 급한 곳으로 가라  이미지

더 급한 곳으로 가라
메노나이트 역사와 한국 구호사업(1951~1971)
대장간 | 부모님 | 2025.04.29
  • 정가
  • 10,000원
  • 판매가
  • 9,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3.5x20 | 0.166Kg | 128p
  • ISBN
  • 978897071744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6세기 교회개혁운동인 종교개혁과 재세례파, 메노나이트, 그리고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와 그 활동에 대한 간략한 안내서이다. 재세례파 운동이 시작된 지 500주년,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가 한국에서 구호사업을 시작한 지 74주년, 한국에서의 20년간의 사업(1951~1971)을 종료하고 한국에서 철수한 지 54년이 되는 해를 맞아, 이를 기념하고 소개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16세기 교회개혁운동인 종교개혁과 재세례파, 메노나이트, 그리고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와 그 활동에 대한 간략한 안내서이다. 재세례파 운동이 시작된 지 500주년,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가 한국에서 구호사업을 시작한 지 74주년, 한국에서의 20년간의 사업(1951~1971)을 종료하고 한국에서 철수한 지 54년이 되는 해를 맞아, 이를 기념하고 소개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

16세기 종교개혁과 재세례파운동 및 메노나이트 교회의 형성을 설명하고, 메노나이트 교회 구호사업 관장기구인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를 소개한다. 이 바탕 위에 6·25 전쟁기에 기독교세계봉사회(CWS), 기독교아동복리회(CCF), 컴패션(Compassion) 등과 더불어 한국에서 가장 많은 구호사업을 전개한 외원단체였던 메노나이트가 6·25 전쟁기와 그 이후 시기 한국에서 어떤 구호활동 혹은 교육사업을 전개해 왔는가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이 책은 교리적인 문제를 취급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교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랑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회고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재세례파란 16세기 교회개혁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개혁을 추진하되 주류의 개혁자들과는 달리 국가교회 체제를 부정하고, 국가교회제도 하에서 강제되었던 유아세례를 반대하고 성인이 된 후 자신의 신앙고백 후에 받는 세례, 곧 ‘신자들의 세례’를 주창했던 집단에 대한 총칭이다.

국가교회로부터의 이탈은 반역죄에 해당했다. 곧 재세례교도들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재세례를 주장하는 것 자체가 유죄였다. 심각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재세례운동은 각지로 확산되었다. 재세례파는 비폭력과 평화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비폭력적이고 무저항적이고 평화주의적인 분파이고, 다른 한 부류는 폭력을 용인하는 집단이었다. 전자의 경우가 절대다수였고, 폭력적인 재세례파 집단은 곧 궤멸되었다. 1535년 이후는 평화를 옹호하는 집단이 남았는데, 그 대표적인 집단이 메노나이트였다.

재세례파가 강조하는 주요한 가르침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성경에 대한 강조이다. 재세례파는 성경전체를 신약에서 조망한다. 구약은 신약에 대한 예비로 보기 때문에 이들의 성경에 대한 접근은 그리스도와 신약성경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상규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교회사학)였고 현재는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좌교수로 있다. 그간의 연구과 저술로, 통합연구학회 학술상(1991)을 수상한 이래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학술상(2010), 기독교문화대상(2010), 올해의 신학자상(2012), 복음주의신학회 학술상(2018), 야립학술상(2021)을 수상했다. 여러 학회에서 활동하였고, 개혁신학회와 장로교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제신학저널인 Unio cum Christo(2015 이후)와 Reformed Theological Review 편집위원(2021 이후)으로 활동하고 있다.또 『교회개혁사』(성광문화사, 1997), 『교회개혁과 부흥운동』(SFC, 2004), 『해방전후 한국장교회의 역사와 신학』(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5), 『초기 기독교와 로마사회』(SFC, 2016), 『역사의 거울로 본 교회, 신학, 기독교』 (생명의 양식, 2020. 7),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SFC, 2021) 등을 저술했고, 『윌리엄 베어드의 선교일기』(숭실대학교출판부, 2011), 『군대가는 그리스도인에게』(John Driver, 대장간, 2021) 등의 역서가 있다.

  목차

서문

1. 시작하면서

2. 종교개혁의 발생

1)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2) 종교개혁의 전개
3)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

3. 재세례파의 개혁운동
1) 재세례와 재세례파
2) 재세례파의 기원과 유형
3) 스위스 형제단
4) 재세례파의 지도자들
5) 재세례파의 교의와 사상
6) 고난의 여정

4. 메노 사이먼스와 메노나이트
1) 메노 사이먼스의 생애
2) 저술과 사상
3) 메노나이트의 정신
4) 자유의 나라로: 메노나이트들의 이주와 교회의 확산

5.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
1) MCC 창립의 배경
2) MCC의 구호활동

6. 메노나이트의 한국에서의 활동
1) 달라스 보란의 내한과 한국에서의 사역 준비
2) 데일 네블의 내한과 MCC
3)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 사역자들
4)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의 구호와 교육 활동

7. 부산에서 순직한 MCC 간호선교사
1) 캐서린 딕
2) 베르타 코넬슨

8. 맺으면서

부록: 한국에서 일한 메노나이트 인물들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