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5년 전, 어른들의 언어가 아닌 아이들의 몸짓과 눈빛으로 나누는 이야기가 좋아 소아청소년과를 택한 젊은 전공의가 있다. 15년이 지난 지금, 그녀는 소아응급실에서 아픈 아이들과 보호자들의 낮과 밤을 지키며 살아간다.
소아응급실에서는 환자가 오래 머물지 않는다. 매일 많은 사람이 쏟아져 들어오지만 이곳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는 내일이 없다. 내일이 되기 전에 환자는 집으로 외래로 병실로 떠나기 때문이다.
저자는 매일 소아응급실에서 마주하는 찰나의 기쁨과 감사의 순간들, 안타까운 사연들, 소아청소년과 의사로 살아가며 겪는 수많은 아픔과 슬픔, 그로 인한 성장의 시간들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 퇴근길이면 당직 일지를 쓰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과 그보다 더 많은 이야기들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곳일 뿐이지만 의료의 본질만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오롯이 전해지기를 소망하며...
출판사 리뷰
어느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당직 일지
끝내는,
아이들 곁을 지키는 모든 어른들을 위한 호소의 기록15년 전, 어른들의 언어가 아닌 아이들의 몸짓과 눈빛으로 나누는 이야기가 좋아 소아청소년과를 택한 젊은 전공의가 있습니다. 15년이 지난 지금, 그녀는 소아응급실에서 아픈 아이들과 보호자들의 낮과 밤을 지키며 살아갑니다.
소아응급실에서는 환자가 오래 머물지 않습니다. 매일 많은 사람이 쏟아져 들어오지만 이곳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는 내일이 없습니다. 내일이 되기 전에 환자는 집으로 외래로 병실로 떠나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매일 소아응급실에서 마주하는 찰나의 기쁨과 감사의 순간들, 안타까운 사연들, 소아청소년과 의사로 살아가며 겪는 수많은 아픔과 슬픔, 그로 인한 성장의 시간들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 퇴근길이면 당직 일지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사람과 그보다 더 많은 이야기들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곳일 뿐이지만 의료의 본질만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오롯이 전해지기를 소망하며...
저자는 응급실에서 보살핌이 필요한 사람은 때로 아이보다 엄마, 아빠임을 알고 그들을 위해 먼저 다정한 마음을 내어줍니다. 아직 아이 돌보는 법이 서툰 초보 부모들을 보며 똑같이 서툴렀던 자신의 초년병 시절을 돌아보고, 딸아이가 다쳐 의사가 아닌 보호자로서 응급실을 찾았을 때는 상대의 입장과 속도를 몰라 오해했던 시간을 돌아봅니다. 아이를 잃어 절망과 고통을 겪고 있는 부모들에게서 아버지의 어깨를 먼저 보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최선을 다해 환자를 돌보는 병원 곳곳의 ‘무대 뒤’ 의사들, 매일 밤 잠든 아이와 가족을 위해 귀하디귀한 마음 한 조각을 기꺼이 떼어주는 간호사들을 향한 따스한 시선도 잊지 않습니다.
학대아동을 진료할 때는 아픔과 미안함, 자책감에 고개를 숙이고, 장애가 있는 아이의 아주 짧은 눈맞춤 한번에도 함박웃음을 짓는 엄마를 보면서는 누구도 다른 사람의 삶을 함부로 재단할 수 없음을 깨닫고 다시 한 번 고개를 숙입니다.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하는 전공의가 사라지고, 동네 소아청소년과가 문을 닫고, 소아응급실이 더 이상 중환자를 받지 못하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소아 의료의 문제에 대한 고민도 아울러 나눕니다. 너무나 안타까워 언급하기조차 버거운 사안이지만 소중한 이 땅의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 아픈 현실을 용기 내어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어른들의 역할에 대해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므로 이 책은,
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아이들 곁을 지키는 모든 어른들에게 한 팀이 되어보자고 내미는 다정한 두 손입니다.
그리고 끝내는,
왜곡되어가는 아이들의 환경과 우리나라 소아 의료의 현실을 조금이라도 개선해보고자 용기 내어 건네는 불완전하지만 간절한 호소의 말들입니다.

돌아오지 않겠다는 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
아이를 오래 지켜본 의사들은 그 순간을 동시에 느낀다. 상한 아이의 몸이 더 이상 다치지 않고, 영원히 아쉬울 부모의 마음도 다치지 않을 정도의 초라한 심폐소생술. 세상에서 가장 슬픈 시간은 특별히 더 천천히 흐른다.
절망과 고통이 지배하는 시공을 마지막까지 추스르는 것은 대체로 아버지들이었다. 온정신을 부여잡으며 가족들에게 전화하고, 차마 떨어지지 않는 입술을 움직여 슬픈 소식을 전하고,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서류를 정리하고, 병원비를 결제하고, 영안실 직원과 장례 절차에 대해 건조한 대화를 나누는 일. 보이지 않는 사이에 아버지들이 해야 했던 그 많은 일들을 나는 어째서 몰랐을까.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주영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소아응급의학과 세부전문의현)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소아전문응급센터 임상 조교수동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아산병원에서 수련했다. 전문의가 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진료는 언제나 새롭고,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아동심리상담사 자격증도 취득했지만 육아는 여전히 어렵다. 집에서는 사랑을 배우고 응급실에서는 삶을 배우며, 찰나의 기쁨과 스쳐가는 감사의 순간들을 오래오래 기억하기 위해 쓴다.
목차
작가의 말 7
1장
아주 보통의 육아
새벽 새벽 두 시의 공동 육아 13
안개바다 위의 방랑자 17
오늘도 선을 넘는다 24
식탁 유리 속의 그림자 32
세 종류의 보호자들 40
아주 보통의 육아 44
언어의 사슬 47
하지 않아요 52
연기를 마신 아이들 57
아이에게 가르치는 내 몸 사용 설명서 62
응급실 환자의 시계는 느리게 간다 69
2장
강 중류의 의사들
항해의 비밀 79
내가 되고 싶어 한 의사는 85
도망자 1 90
도망자 2 96
일을 쉽게 하는 최고의 방법 100
그날 이태원 106
강 중류의 의사들 111
드라마 속 의사들은 어디 있을까? 1 119
드라마 속 의사들은 어디 있을까? 2 126
Make a Wish 134
확률과 통계 141
괜찮다고 말해도 된다면 151
그 환자 못 받아요 156
두 달만 배우면 소아과 의사만큼 본다 160
자린고비의 약 165
1종 보통의 의사들을 위하여 171
3장
결정적 장면
무대 뒤의 의사들 179
명의를 만나는 가장 확실한 방법 184
119를 불러주세요 189
가와사키의 밤 194
그가 의사였다면 200
중환자실의 해그리드 205
아주 특이한 일상 211
학대 아동의 분리 그리고 그 뒷이야기 215
나는 2차 가해자입니다 221
무지개를 위하여 225
결정적 장면 232
오늘도 배운다, 삶 자체가 기적이라는 걸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