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인의 시각에서 중국의 역사, 중국 인민들의 삶을 서술했다. 강단에서 중국사를 가르치는 필자들은 생소한 용어나 시각의 차이가 드러나는 번역서들에 한계를 느끼고,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우리의 수준에 맞는 역사서를 기획했다고 한다. 또 객관적인 사료에 근거한 정확한 중국사를 이해하는 것이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응하는 출발점일 것이라고 말한다.
본격적인 중국사를 기록해 중국문명의 기원에서 간과되어온 중화인민공화국까지 다뤘다. 문화.문학.철학.정치.경제.생활사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안목으로 집필했고 사진.도판.지도.흐름도 등 300여 컷의 시각자료로 풍부한 볼거리를 더했다. 인명과 지명을 표기하는데 있어 한국어 발음을 표기해(예 쑨원이 아닌 손문으로 표기) 다른 중국사서의 표기법과 구별된다.
작가 소개
저자 : 신성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전임강사 및 조교수와 중국 칭다오 대학교 교환교수 역임하였다. 2005년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책으로 <신중국사>등이 있으며, 지은책으로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등이 있다.
목차
1부 중국문명의 형성과 발전
제1장 중국문명의 기원
중국의 고인류와 구석기문화
신석기 농경문화의 다양성과 독자성
신석기문화의 전통과 특징
중국 신화의 세계와 하왕조의 실재
제2장 상.주의 정치와 사회
상왕조의 건립과 통치구조
서주의 봉건체제
제3장 춘추.전국시대의 사회변혁과 사상
춘추.전국시대의 사회변혁
제자백가의 주요 사상과 그 내용
제4장 진.한 통일제국의 출현과 발전
진의 통일과 황제 지배의 출현
한제국의 건설과 발전
한 무제시대의 빛과 그림자
유교이념의 정착과 왕명정권